카테고리 없음

헌법 제65조 "탄핵" : 절차, 역사적 사례와 민주주의적 의의

atte-bini05 2024. 12. 4. 11:40
헌법 제65조 
①대통령ㆍ국무총리ㆍ국무위원ㆍ행정각부의 장ㆍ헌법재판소 재판관ㆍ법관ㆍ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ㆍ감사원장ㆍ감사위원     기타 법률이 정한 공무원이 그 직무집행에 있어서 헌법이나 법률을 위배한 때에는 국회는 탄핵의 소추를 의결할 수 있다.

②제1항의 탄핵소추는 국회재적의원 3분의 1 이상의 발의가 있어야 하며, 그 의결은 국회재적의원 과반수의 찬성이 있어야
    한다. 다만,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는 국회재적의원 과반수의 발의와 국회재적의원 3분의 2 이상의 찬성이 있어야 한다.

③탄핵소추의 의결을 받은 자는 탄핵심판이 있을 때까지 그 권한행사가 정지된다.
④탄핵결정은 공직으로부터 파면함에 그친다. 그러나, 이에 의하여 민사상이나 형사상의 책임이 면제되지는 아니한다.

 

탄핵(彈劾)은 공직자가 헌법이나 법률을 위반하거나 직무를 수행하며 중대한 과실을 저지른 경우, 이를 조사하고 직위에서 해임하거나 처벌하기 위한 법적 절차입니다. 이는 민주주의 국가에서 권력 남용을 방지하고 공직자의 책임을 묻는 중요한 제도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에서는 대통령을 포함한 고위 공직자를 대상으로 실행되며, 헌법과 법률에 명확히 규정되어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탄핵의 정의와 법적 근거, 절차, 대한민국의 주요 사례, 장단점, 민주주의적 의의, 그리고 세계 각국의 탄핵 사례를 다루어 탄핵 제도의 전반을 상세히 분석합니다.

 

탄핵

1. 탄핵의 정의와 의의

탄핵은 공직자의 위법 행위 또는 직무상 중대한 과실을 제재하기 위한 법적 절차로, 권력의 균형을 유지하고 공공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시행됩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 권력 남용의 방지:
    공직자의 위법 행위를 처벌하고 다시는 이러한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억제합니다.
  • 법치주의 강화:
    헌법과 법률이 모든 공직자에게 평등하게 적용됨을 보장합니다.
  • 국민 주권 실현:
    공직자의 책임을 물음으로써 국민이 국가 운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제도를 제공합니다.

2. 대한민국 헌법에 규정된 탄핵

2.1 헌법 제65조

대한민국 헌법 제65조는 탄핵소추의 근거와 절차를 다음과 같이 규정합니다.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 행정각부의 장, 헌법재판소 재판관, 법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 감사원장, 감사위원 기타 법률이 정한 공무원이 그 직무 집행에 있어서 헌법이나 법률을 위배한 때에는 국회는 탄핵의 소추를 의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탄핵이 적용될 수 있는 대상과 사유가 명확히 정해져 있습니다.

2.2 대상 공직자

탄핵의 대상은 대통령을 포함한 고위 공직자로 제한되며, 일반 공무원이나 민간인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3. 탄핵 절차

탄핵 절차는 크게 국회의 탄핵소추 의결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으로 구분됩니다.

3.1 국회의 탄핵소추 의결

  1. 발의
    • 탄핵안은 국회의원 재적 3분의 1 이상의 동의를 받아 발의됩니다.
    • 발의 후 본회의에 상정되며, 필요한 경우 특별위원회에서 사안을 검토합니다.
  2. 의결
    • 국회 본회의에서 재적 의원 3분의 2 이상의 찬성으로 의결됩니다.
    • 이 과정은 공직자의 위법 행위에 대한 사실관계와 법적 판단을 토대로 이루어집니다.

3.2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1. 심판 개시
    • 국회의 탄핵소추 의결이 이루어지면 헌법재판소가 이를 심리합니다.
    • 공직자의 위법 행위가 헌법 및 법률 위반에 해당하는지 심사합니다.
  2. 심판 결과
    • 헌법재판소는 9명의 재판관 중 6명 이상의 찬성이 있어야 탄핵을 인용할 수 있습니다.
    • 탄핵이 인용되면 해당 공직자는 즉시 파면되며, 일정 기간 동안 공직 취임이 제한됩니다.

4. 대한민국 주요 탄핵 사례

4.1 노무현 대통령 탄핵 (2004년)

  • 사유:
    노무현 전 대통령은 선거법을 위반한 발언을 했다는 이유로 국회의 탄핵소추를 받았습니다.
  • 결과:
    헌법재판소는 탄핵 사유가 중대한 헌법 침해로 보기 어렵다며 기각 결정을 내렸습니다.
  • 의의:
    이 사건은 헌법재판소가 탄핵 요건에 대해 엄격한 기준을 설정한 사례로 평가됩니다.

4.2 박근혜 대통령 탄핵 (2017년)

  • 사유:
    직권 남용 및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로 인한 헌법 및 법률 위반이 주된 이유였습니다.
  • 결과:
    헌법재판소는 8:0의 만장일치로 탄핵을 인용하며 박근혜 전 대통령을 파면했습니다.
  • 의의:
    대한민국 역사상 최초로 대통령이 탄핵을 통해 파면된 사례로, 국민의 정치적 참여와 법치주의의 승리를 보여줍니다.

5. 세계 주요 국가의 탄핵 사례

5.1 미국

  • 앤드루 존슨 대통령(1868):
    미국 최초로 탄핵소추를 받은 대통령이었으나 상원의 표결에서 기각되었습니다.
  • 리처드 닉슨 대통령(1974):
    워터게이트 사건으로 탄핵 절차가 시작되었으나, 표결 전에 자진 사임했습니다.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2019, 2021):
    두 차례 탄핵소추를 받았으나 모두 상원의 기각으로 직위를 유지했습니다.

5.2 브라질

  • 지우마 호세프 대통령(2016):
    예산법 위반으로 탄핵되어 직위에서 물러났습니다.

6. 탄핵 제도의 장단점

6.1 장점

  1. 권력 견제와 법치주의 강화:
    공직자의 책임성과 윤리성을 강화합니다.
  2. 민주주의적 정당성 부여:
    국민과 입법부가 협력하여 정부를 통제할 수 있습니다.

6.2 단점

  1. 정치적 남용 위험:
    탄핵 절차가 정치적 도구로 악용될 경우 민주주의적 신뢰를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2. 사회적 갈등:
    탄핵 과정에서 국민 간의 분열과 대립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7. 결론

탄핵은 공직자의 책임을 묻는 민주주의의 핵심 제도 중 하나로, 대한민국에서 두 번의 대통령 탄핵을 통해 그 중요성이 입증되었습니다. 앞으로도 탄핵 제도가 법치주의와 민주주의를 강화하는 역할을 수행하려면 정치적 중립성과 절차적 공정성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이러한 원칙을 바탕으로 탄핵이 권력 남용을 방지하고 국민의 신뢰를 유지하는 수단으로 공정하게 운영되기를 기대합니다.